1대 태조 : 이성계
2대 정종 : 이방과
3대 태종 : 이방원
4대 세종 : 이도
5대 문종 : 이향
6대 단종 : 이홍위
7대 세조 : 이유
8대 예종 : 이황
9대 성종 : 이혈
10대 연산군 : 이융
11대 중종 : 이역
12대 인종 : 이호
13대 명종 : 이환
14대 선조 : 이연
15대 광해군 : 이휘
16대 인조 : 이종
17대 효종 : 이호
18대 현종 : 이연
19대 숙종 : 이돈
20대 경종 : 이윤
21대 영조 : 이금
- 사도세자 + 혜경궁 홍씨
22대 정조 : 이산
23대 순조 : 이공
24대 헌종 : 이환
25대 철종 : 이원범
- 흥선대원군
26대 고종 : 이명복 - 명성황후
27대 순종 : 이척
<조선시대 왕들의 치적기록 → 연대순>
제 1 대) 태조 1392 ~ 1398
위화도 회군, 숭불 억제 정책
제 2 대) 정종 1398 ~ 1400
제 1, 2차 왕자의 난 사병폐지
제 3 대) 태종 1400 ~ 1418
각종 제도 정비(신문고 설치등)
역사서 편찬(동국사략, 고려사). 주자소 설치
(계미자 개발), 대마도 정벌, 호패법 실시
제 4 대) 세종 1418 ~ 1450
훈민정음 창제, 농업(농사직설)과 과학기술의 발전,
의약기술(향약 채집월령, 향약집 성방, 의방유취)과 음악(아악) 및 법제 (속육전)의 정리,
공법의 제정 국토의 확장, 집현전
제 5 대) 문종 1450 ~ 1452
서적편찬(동국병감), (고려사 절요, 대학연의주석), 군제의 개혁(5사로 개정),
긴 세자 생활과 짧은 섭정
제 6 대) 단종 1452 ~ 1455
서적편찬(조선도도, 팔도각각)
숙부에 의한 왕위찬탈, 단종 복위 운동(생육신과 사육신)
제 7 대) 세조 1455 ~ 1468
서적편찬(동국통감, 오륜록, 역학계몽도해, 주역구결, 대명룰강해, 금강경언해)
경국대전 찬술 시작, 원구단을 만듦, 집현전 폐지
제 8 대) 예종 1468~ 1469
작전 수조 법제정, 경국대전찬진, 왜와의 사무역금함, 둔전 경작허락
제 9 대) 성종 1469 ~ 1494
경국대전 완성, 반포, 서적편찬, 야인소굴소탕, 폐비윤씨, 사림의 등장
제 10 대) 연산군 1494 ~ 1506
무오사화, 갑자사화, 중종반정
제 11 대) 중종 1506 ~ 1544
홍문관 강화, 붕당정치, 비변사설치, 동활자주조, 역사, 지리, 언어, 문학,
사회의 각 방면 문헌편찬, 간행, 저화와 동전의 사용, 조광조의 사림파를 중심으로 한 이상정치
제 12 대) 인종 1544 ~ 1545
현량과 복구, 기묘명현 신원, 재위기간이 제일 짧았던 왕, 독살설, 효심이 깊은 왕이였음
제 13 대) 명종 1545 ~ 1567
을사사화, 외척 전횡의 시대(윤원형과 정난정), 도적(임꺽정), 삼포왜란
제 14 대) 선조 1567 ~ 1608
방계출신 왕, 당쟁이 시작, 임진왜란
제 15 대) 광해군 1608 ~ 1623
중립외교, 대동법(경기도)실시, 임진왜란때 소실된 서적간행에 노력 적상산성에 사고 설치,
허준의 동의보감, 허균의 홍길동전, 인조반정(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희생)
제 16 대) 인조 1623 ~ 1649
병차호란(삼전도의 굴욕), 소현세자 변사, 대동법 확대시행(강원도실시),
상평창 설치(상평통보 주조), 친명 배금 정책
제 17 대) 효종 1649 ~ 1659
대동법 확대 시행(충청도, 전라도), 역법개정(시헌력 사용), 농가집 성간행,
북벌정책(북벌 계획 수립), 대청강경파 중용
제 18 대) 현종 1659 ~ 1674
대동법 확대시행(호남지방), 동철활자 10여 만자 주조, 훈련별대창설,
기해복제문제(자의대비 조씨의 복제문제)
제 19 대) 숙종 1674 ~ 1720
대동법 확대시행(경상도(1677), 황해도(1717), 전국확대시행),
양전사업추진(서북지역 일부제외), 붕당정치, 민폐의 제거와 민생안정책,
임진왜란후의 동요된 사회에 대한 수습, 재정비의 과정 마무리
제 20 대) 경종 1720 ~ 1724
신임사화, 명소통부 개조(왕이 중신을 부를 때 발급),
남구만의 약천집 간행(독도가 우리 영토임을 밝힘), 서원의 급여한 전결의 한수의 논
제 21 대) 영조 1724 ~ 1776
탕평정국 시행(탕평비-노론, 소론의 당론에 처한 당본인), 압술형 추형금지, 삼복법시행,
신문고 부활, 균역법시행, 탕평과 처음시행,
서적편찬(동국문헌 비고(우리나라최초의 백과사전), 증보 문헌비고, 악핵궤범)
실학자 서적도 편찬, 간행(홍대용의 연행록, 유형원의 반계수록),
조선시대 역대왕 가운데 재위기간이 가장 길었던 왕
제 22 대) 정조 1776 ~ 1800
규장각 설치(정조 왕권 강화, 확실한 기구), 장용영 설치(군사적 기반) 탕평책 계승,
서적 편찬(대전통편, 동문휘고, 탁지지)
제 23 대) 순조 1800 ~ 1834
홍경래의 난, 통신사를 보냄, 서적간행(양현전심록, 사부수권, 대학유의, 정조어정흥재전서), 천주교 신자 학살, 세도 정권 확립(안동김씨)
제 24 대) 헌종 1834 ~ 1849
기해박해(오가 작통법 시행, 김대건 신부처형(최초의 한국인 신부)),
각도에 제언 수축, 삼정문란
제 25 대) 철종 1849 ~ 1863
안동김씨의 세도정치 계속, 삼정의 문란 더욱 심화(탐관오리 횡행),
진주민란 삼남중심의 여러 민란, 최제우가 동학 창시
제 26 대) 고종 1863 ~ 1907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 서원철폐, 경복궁 증진(당백전), 병인양요, 신미양요, 강화도조약,
임오군란, 갑신정변, 갑오개혁, 청일전쟁, 아관파천, 대한제국수립(연호를 광무라 함),
을사조약(한일의 정서, 제1차 한일 협약), 네덜란드 헤이그 특파사건,
3.1운동(고종의 국장이 거행될때), 동학혁명
제 27 대) 순종 1907 ~ 1910
연호를 융희로 고침, 한일 합병조약, 순종의 인산례때 6.10독립
만세운동이 전국적으로 전개
'◐ 고전 산책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에서 배우는 교훈 (0) | 2007.12.22 |
---|---|
조선 왕실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단어 (0) | 2007.09.11 |
삼국시대 왕의순서 (0) | 2007.08.03 |
산은 옛산이로되 외.감상../ 황진이 (0) | 2007.07.11 |
황진이 엿보기 (0) | 2007.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