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이치는 참으로 신비합니다. 지난 봄을 보내고 이 여름을 안겨주었던 것처럼, 또 다시 이 여름을 보내고 어김없이 새로운 가을을 안겨줄 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사철의 섭리도 꼭 인간의 마음과 같습니다. 새 가을을 맞는 설렘보다 이 여름을 보내는 아쉬움이 더 큰 탓인지 막바지 찜통 열기로 배짱을 부리더니 어느새 비를 뿌리고 있습니다.
그가 직접 그린 이 자화상을 포함하여 아래의 모든 작품이 별도의 설명이나 세세한 묘사 없이 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그런 그림들입니다. 그러므로 오늘 소개하는 10점 모두 반드시 클릭하여 큰 그림으로 실감나게 감상하시고 시원한 바탕화면으로도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저도 제 컴퓨터의 바탕그림으로 자주 애용하고 있습니다. 프랑스 인상파의 대표적인 화가 모네는 1840년, 파리의 류라피트(rue Laffitte)에서 태어나 5세 즈음에 르아브르(Le Havre)로 이주해 세느(Seine)강 하구에 있는 항구도시에서 소년시절을 보냈습니다. 그래서 모네의 그림에서 세느강과 르아브르 주변의 아름다운 풍경과 그 지명들을 쉽게 만날 수 있습니다. 일생동안 인상적인 풍경 그림을 주로 그렸던 모네 처음 모네는 마을 명사들을 그린 풍자만화(caricature)로 호평을 받아 주로 초상화를 많이 그렸으나, 해변의 풍경을 주로 그렸던 화가 부댕(Eugene Louis Boudin, 프랑스, 1824-1898)을 만나 외광(外光)묘사에 대한 초보적인 화법을 배우면서 결정적 영향을 받습니다. 그리고 1862년부터 파리 글레르(Gleyre)의 화실에서 함께 미술수업을 받았던 인상주의 화가들에게도 영향을 받으면서 점차 밝은 야외에서 풍경화를 그리게 됩니다. 1870년 프로이센-프랑스전쟁이 일어나자, 런던으로 건너가 1871년까지 활동하면서 당시 화랑을 운영하던 뒤랑 뤼엘(Durand-Ruel)을 알게 되었고, 훗날 그 화랑에서 여러 번의 전시회를 갖는 계기가 됩니다. 1874년에는 카푸시뉴(Capucines)에서 피사로(Camille Pissarro, 프랑스, 1830-1903) 등과 함께 독자적인 그룹전을 열면서 인상주의자로 명성을 얻게 됩니다. 인상주의 화가들이 해체되자 파리 북부 아르장퇴유(Argenteuil)와 베퇴유(Vetheuil)로 옮겨 살았으며, 야외에서 풍경그림을 주로 창작하였는데 그의 많은 작품과 아래 그림에서도 그 곳의 아름다운 풍경을 만날 수 있습니다. 1883년에 고향인 노르망디의 지베르니(Norman, Geverny)에 정착했으며, 1926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왕성한 창작으로 루앙(Rouen)성당, 건초더미, 수련 등 연작을 많이 그렸는데 오늘의 포플러나무도 그 가운데 하나입니다.
위 그림을 감상하는 소감이 어떻습니까? 저는 이 지베르니의 아침풍경을 처음 감상하면서 받았던 그 신선한 충격을 지금도 잊을 수가 없습니다. 몸이 굳어버린 듯, 시간이 정지되어 버린 듯, 움직일 수조차 없었던 그 느낌이 시간이 지나도 잊혀지지가 않습니다. 심장과 뇌리에까지 번지던 그 상쾌한 전율이 지금도 생생하게 살아나 절로 부르르 몸을 떨게 됩니다. 이 그림을 볼 때마다 마찬가지의 감동과 전율을 느끼게 됩니다. 원근감이나 구도를 포함한 전체 구성은 둘째에 두고라도 첫 눈에 들어오는 살아있는 색채와 자연에 대한 생동하는 느낌만으로도 우리 모두의 시선과 마음을 사로잡기에 충분합니다. 나뭇가지와 나뭇잎, 풀밭과 뒤로 보이는 산이나 밝은 하늘 사이, 자연을 감싸고 있는 대기의 미묘한 기운이나 신비로운 빛이 감도는 풍경의 순간적인 분위기와 환상적인 느낌을 충분히 공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어렵던 시절에 그의 아내 카미유(Camille Monet)를 만났으며, 그 사이에서 아들 장(Jean)도 얻게 되었습니다. 그의 많은 다른 작품들과 위의 세 그림에도 세 가족이 등장하고 있으며, 그 단란한 이야기가 전해져 옵니다. 모네가 야외에서 그림을 그릴 때마다 가족을 동반하여 함께 소풍을 다니듯이 평화로운 마음으로 그림을 그렸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 세 그림 모두 보는 것만으로도 시원한 바람이 실감나게 느껴집니다. 더불어 햇빛과 바람이 사로잡고 있는 대기의 기운을 느낄 수 있습니다. 빛 고운 햇살과 불어오는 바람에 하늘과 구름, 포플러 나무와 발아래 풀밭, 그리고 그 풀숲에 어우러진 꽂들과 등장인물들이 모두 하나가 되어 춤을 추고 있습니다. 풍경에 대한 사실적인 묘사라기보다는 가족과 함께 하고 있는 특정 순간을 인상적으로 포착하고 있습니다.
가로수로 넓게 이용되는 포플러나무는 흑양(black poplar/P. nigra)은 유럽과 아시아 서부에 분포하며 어린 가지와 잎에 털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잎은 넓은 삼각형으로 잎자루가 길고 편평하기 때문에 약간의 바람만 불어도 위 그림처럼 잎이 잘 흔들리는 것입니다. 최근에는 토양 오염원을 정화하는 탁월한 효능이 확인되면서 주목받고 있으며 새로운 수종으로 개발되고 있기도 합니다. 위 두 그림 가운데 첫 번째 그림은 지면을 기반으로 사선과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며 늘어 서있는 포플러 나무들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면을 중심으로 수면에 비친 구름과 나무의 그림자까지 똑같이 배치되어 대칭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물의 구분도 모호해져 있을 뿐만 아니라 화면에 포착된 모든 소재가 바람과 대기의 기운에 녹아들어 하나가 되어 있습니다. 모네의 서명이 뚜렷하게 보이는 위 두 번째 그림 역시 강가의 지면을 중심으로 서 있는 네 그루의 포플러 나무의 밑 부분을 그린 그림입니다. 마찬가지로 물 밑의 그림자까지 선명하고 뚜렷하게 묘사하여 당시 모네가 받았던 강한 인상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수면을 아래 1/3로 배치한 대칭구도로 안정감을 더하였으며, 같은 간격으로 늘어 서 있는 포플러의 모습이 시적인 정취를 자아내고 있습니다.
위 두 그림의 구성과 색감, 분위기와 느낌으로 보아 이 작품은 같은 시기, 비슷한 날짜에 그린 연작 그림으로 보입니다. 이 두 그림을 비교해 봄으로써, 빛의 흐름과 바람에 따라 변하는 하늘의 순간적인 느낌과 대기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으며 그런 느낌을 포착, 화폭에 담아내고자 애썼던 모네의 붓질과 숨결까지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모네의 많은 그림들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해변과 강가의 밝은 대기를 즐겨 묘사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는데, 화면에 담겨있는 소재뿐 아니라 빛나는 외광(外光)과 공기의 흐름까지 신선한 색채감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위 두 그림에서도 그런 느낌을 실감할 수 있는데, 화창한 어느 한 낮과 해질 무렵 노을에 물든 포플러 나무의 이 두 푸른 색채감이 신비롭고 놀랍기만 합니다.
위 그림을 살펴보면 사물의 뚜렷한 선이나 색채의 구분으로 윤곽선을 강조한 그림이 아닙니다. 반면 이 풍경화는 빛의 굴절과 그에 따른 색채의 효과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럼으로써 포플러 나무와 바람에 잘 흔들리는 잎새 하나하나, 나무 아래 들풀들, 그리고 미미하게 진동하는 수면의 윤곽선까지 흐려져 있으며 바람과 하나가 되어 있습니다. 여름 빛 고운 햇살에 은비늘처럼 반짝이는 하얀 잎새가 눈부시도록 아름답습니다. 또 살랑거리는 바람에 잎새들이 부딪치며 만들어내는 소리가 살그락 살그락, 잘랑 잘랑, 포플러가 들려주는 자연음악에 정신이 맑아집니다. 뿐만 아니라 바람과 함께 넘실거리는 잎새 하나하나의 부드러운 춤사위가 눈을 밝게 해주며 어릴 적 추억까지 상기시켜 줍니다. 자연음악과 춤사위도 담아낸 빛의 결정체 위와 같이, 인상주의 그룹이 해체되자 모네는 파리를 떠나 지베르니에 정착하였고, 1890년부터 동일한 대상이 다른 광선 조건에서 어떻게 변화하며 어떻게 달라 보이는지 탐구하며 지속적으로 작품을 제작하였던 모네의 포플러 연작을 감상하였습니다. 그가 남긴 그림을 통하여 그 시대의 자연과 환경, 날씨, 그리고 빛의 노래와 바람의 춤사위까지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당시의 프랑스 문학이 역사소설에서 현실적인 인물에 대한 이야기로 전환해가는 동안, 모네를 포함한 인상주의 화가들은 단조로운 기법과 사실적인 훈련에서 벗어나 자신의 개인적인 감정과 일상을 표현하고자 했으며, 화실을 벗어나 야외에서 펼쳐지는 풍경의 빛, 색채, 그리고 대기를 포착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위 모네의 포플러 연작에서 그런 인상주의 특징과 그 결정체를 만끽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빛의 마술에 걸려 한평생 빛의 변화만을 찾아다녔고 그런 풍경을 표현하고자 애썼던 모네를 인상주의의 진정한 창시자라 평가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며 정당한 표현일 것입니다. 그래서 많은 비평가들이 그를 '빛의 화가'나 '빛의 마술사'라고 찬사하는 이유일 것이며 또 위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이 시기에 제작되어 지금까지도 전해지고 있는 포플러 관련 작품들은 전부 20여점 정도입니다. 그러나 오늘 소개하지 못한 다른 포플러 그림들 하나하나도 무척 아름답고 인상적이며 모두 인상주의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오늘 함께 감상하지 못한 아쉬움이 무척 컸으며 다음을 기대해봅니다. 아울러 인생의 어떤 어려움도 그의 창작을 방해할 수 없었던 모네의 열정에도 감사를 표합니다. ** 연대별 모네의 약력과 작품 활동 1840 파리, 류라피트(rue Laffitte)에서 태어남 1845 5살에 가족이 르하브르(Le Havre)로 이주 1856-8 그의 캐리커쳐(풍자그림, caricature) 작품으로 유명해짐 1858 르하브르에서 풍경화 전시로 정식 화가로 입문함 1861 추첨에 의해 군에 입대하게 되나 2년 뒤 숙모, 소피의 도움으로 제대하게 됨 1874 카푸시뉴(Capucines)에서 첫번째 그룹 전시회를 가짐. 한 비평가(루이 르로이라는 신문기자)가 그의 작품 가운데 하나인 "인상 : 해돋이(Impression: sunrise)"를 보고, 인상주의 그룹으로 분류, 이 때부터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 1883 뒤랑 뤼엘(Durand-Ruel)의 갤러리에서 첫 개인전 1886 뒤랑 뤼엘의 기획으로, 처음으로 49점의 작품을 뉴욕에서 전시. 모네를 바탕으로 한 졸라(Zola)의 소설 르우브르(L'Oeuvre)가 출판됨 1888 고흐의 기획으로 개인전 가짐. 발라돈(Valadon) 갤러리에서 Antibes 풍경화 10점을 전시함 1890 포플러나무(Poplars) 관련 연속 작품이 에프트(Epte) 강변에서 제작되기 시작함 1895 수련(Water Lilies) 연작을 그리기 시작함 1897 갤러리 George Petit에서 세느(Seine)의 아침, 18점을 포함, 61점의 작품으로 개인전을 가짐 1904 갤러리 두란 누엘에서 런던에 관한 37점의 풍경작품 전시 1908 시력과 건강 악화되기 시작 1909 48점의 수련(Water Lilies) 관련 작품을 갤러리 두란 루엘(Durand-Ruel)에서 전시 1921 갤러리 Bernheim-Jeune 에서 회고전이 열림 1922 백내장으로 인해 거의 장님이 됨 1924 갤러리 Georges Petit에서 대형 회고전이 열림 1926. 12월 5일 정오, Geverny에서 86세의 나이로 사망 |
'◐ 문학 & 예술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의 몰락 / 유하 (0) | 2011.09.14 |
---|---|
정형시의 풍격과 서정성을 끌어올리는 시조의 운율 (0) | 2011.09.10 |
조그만 사랑 노래 / 황동규 (0) | 2011.08.29 |
바람이 시작하는 곳 / 정현종 (0) | 2011.08.29 |
반성 / 김영승 (0) | 2011.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