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고전 산책로 ◑

오늘의 고사성어 [화룡점정 畵龍點睛 ]

by sang-a 2016. 12. 9.

 

화룡점정(畵龍點睛) _ 그린 용에 눈동자를 찍다.

[그림 화. 용룡. 점점. 눈동자정]

 

무슨 일을 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성하는 것을 이르는 말로 많이 사용하는 성어다.

용을 그리고 난 후에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그려 넣었더니 그 용이 실제 용이 되어 홀연히

구름을 타고 하늘로 날아 올라갔다는 신화 같은 고사에서 유래했다.

 

어떤 일을 하 ㄹ때 가장 중요한 곳이거나 최후의 손질을 해서 매듭을 짓는 것을 말하게 됐다.

그러나 화룡점정이 빠졌다고 하면 아무리 그럴듯하게 겉으로 잘 포장되어 있더라도

핵심이 빠진 것이 된다.

눈동자만 그리면 승천할 정도로 용을 잘 그린 사람은 張僧繇장승요 다.

그는 5~6세기 중국 南北朝(남북조)시대 梁(양)나라에서 장군과 태수를 지내기도 한 관리지만

붓 하나로 모든 사물을 실물과 똑같이 그리는 화가로 더 유명했다.

 

어느 날 安樂寺(안락사)라는 절의 주지로부터 벽화로 용을 그려달라는 부탁을 받고 네 마리를

그렸는데 모두 눈동자를 그려 넣지 않았다.

주위 사람들이 연유를 묻자 눈동자를 그리면 용이 날아가버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지만 아무도

그 말을 믿지 않았다.

그러자 장승요는 곧 붓을 들어 벽화의 용에 눈동자를 그려 넣었더니 갑자기 번개가 치고 우레가

울려 벽이 깨지고 용 한 마리가 구름을 타고 올라가 버렸다.

(因點基一須臾雷電破壁一龍昇雲上天 / 인점기일수유뇌전파벽일룡승운상천),

水衡記(수형기)나 歷代名畵記(역대명화기)를 비롯한 몇 곳에 전하는데 용이 두 마리가

되었다가 다른 성어 破壁飛去(파벽비거)는 뜻을 이룩했거나 이상이 실현되었음을

뜻하는 말이 됐다.

 

절의 벽화에서 유래되어선지 불교미술계의 탱화를 모실 때 행하는 點眼式(점안식)이나

소원이 성취되는 것을 말하는 入眼(입안)도 눈동자와 관계가 있다.

 

제공  :  안병화 (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