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전 산책로 ◑148 四書三經 사서삼경(四書三經) 사서와 삼경을 아울러 이르는 말. 논어,맹자,중용,대학의 네 경전과 시경,서경,주역의 세 경서. 사서(四書) 논어(論語) : 공자(孔子, 기원전 551년∼479년)의 생존 시 제자들이 받아 적은 공자의 말과 공자의 사후 공자의 제자들의 말 및 기타 자료들의 첨가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추.. 2008. 5. 27. 공자의 한 말씀 1. 子曰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 有朋이 自遠方來면 不亦樂乎아. 人不知而不溫이면 不亦君子乎아. (자왈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유붕 자원방래 불역락호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배워서 때에 맞추어 익히니 또한 기쁘지 아니하랴. 뜻을 같이 하는 자(벗) 먼 곳으로부.. 2008. 5. 27. 한시(漢詩)의 형식(形式) 한시(漢詩)의 형식(形式) 한시(漢詩)의 형식은 크게 분류해서 고체시(古體詩)와 근체시(近體詩)로 구분할 수 있다. 고체시(古體詩)는 근체시(近體詩)에 비해 비교적 자유로운 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근체시(近體詩)는 엄격한 형식적 제약이 존재한다. 고체시(古體詩)에는 악부(樂府)와 고시(古詩)가 있.. 2008. 5. 20. 고전에서 배우는 교훈 고전에서 배우는 교훈 1. 勸學問 朱子訓 勿謂今日不學而來日 勿謂今年不學而來年 日月逝矣 歲不我進 呼乎老矣 是誰之愆 少年易老 學難成 一寸光陰 不可輕 未覺之塘 春草夢 階前梧葉 已秋聲 (물위금일불학이내일 물위금년불학이내년 일월서의 세불아진 호호노의 시수지건 * 愆 :허물 건 소년이로 학.. 2007. 12. 22.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