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고전 산책로 ◑148

종로의 발자취(조선시대) 조선시대 한성부는 도읍으로 정해진 뒤 궁궐을 중심으로 좌묘우사와 전조후시의 도시계획에 따라 종묘와 사직단 및 각종 관아와 시전 건물이 건설되고, 도성과 문묘, 교량 등의 축조가 이루어져 왕도로서의 면모를 갖추어 나갔다. 특히 지역적으로 이와 같은 왕도의 기본시설들이 북악산, 인왕산, 낙.. 2009. 10. 16.
고산구곡가 (高山九曲歌)10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 10 -주자의 무이구곡(武夷九曲)을 본뜸- 율곡 이이(1536-1586 중종-선조) 고산구곡담(高山九曲潭)을 사람이 모르더니 주모복거(誅茅卜居)하니 벗님네 다 오신다 어즈버 무이(武夷)를 상상하고 학주자(學朱子)를 하리라. 註) 고산(高山) : 황해도 해주에 있는 산 무이(武夷) : 중국에 .. 2009. 6. 22.
고대사의 숨은 이야기 4. 전환기의 사람들 (궁예. 견훤. 왕건) 궁예와 견훤이 반란을 일으켜 16세기 초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했다. 궁예는 현안왕 혹은 경문왕의 서자라 전해진다. 경문왕의 서자라면 진성여왕과는 이복 형제 사이다. 왕족간의 왕위 계승 다툼이 치열한 때에 상해될 뻔한 궁예는 유모 덕택에 겨우 목숨을 건졌으.. 2009. 1. 13.
고대사의 숨은 이야기 3. 노래하는 스님들 (월명사와 충담사) 신라인들은 노래를 즐겨 불렀다. 즐거울 때나 슬플 때, 힘들고 어려울 때, 축하할 일이 있을 때, 간절히 빌 때, 혼자서, 여럿이서, 다같이 함께 노래를 불렀다. 그 노래 가락은 남아 있지 않지만 가사는 남아 있다. 『삼국유사 』에 전해지는 향가 14수가 바로 그것이.. 2009.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