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1대
박혁거세
(BC57~AD4)
국호를 서라벌이라 함
수도를 금성이라하고 성을 쌓아 국가의 기초를 세움
2대
남해 차차웅(4~24)
박혁거세의 맏아들.
석탈해(탈해이사금)를 사위로 삼아 정사를 맡김
3대
유리 이사금(24~57)
남해차차웅의 아들. 도솔가를 지음
4대
탈해 이사금(57~80)
국호를 계림이라 고침
5대
파사 이사금(80~112)
유리 이사금의 아들. 월성을 쌓아 백성을 옮겨 살게 함
6대
지마 이사금(112~134)
파사 이사금의 맏아들. 백제의 협조를 얻어 말갈을 물리침
7대
일성 이사금(134~154)
농본정책으로 경지를 개간하고 백성의 사치를 금함
8대
아달라 이사금 (154~184)
현을 설치하고 도로를 만듬
9대
벌휴 이사금(184~196)
탈해 이사금의 손자
10대
나해 이사금(196~230)
벌휴 이사금의 손자
11대
조분 이사금(230~247)
벌휴 이사금의 손자
12대
첨해 이사금(247~261)
벌휴 이사금의 손자. 조분 이사금의 동생
고구려와 국교를 통함
13대
미추 이사금(262~284)
김씨 왕가의 시조
14대
유례 이사금(284~298)
조분 이사금의 맏아들. 백제와 수교함
15대
기림 이사금(298~310)
조분 이사금의 둘째 아들. 국호를 신라로 고침
16대
흘해 이사금(310~356)
기림 이사금의 후사가 없자 군신들의 추대로 즉위함
17대
내물 마립간(356~402)
중국 문물 수입에 힘씀
18대
실성 마립간(402~417)
백성들의 추대로 왕위에 오름.
내물 마립간의 태자 눌지를 시기하여 죽이려다 도리어 피살됨
19대
눌지 마립간(417~458)
내물 마립간의 아들. 고구려 묵호자에 의해 불교가 전파됨
20대
자비 마립간(458~479)
고구려가 백제를 공격하자 나제동맹을 맺음
21대
소지 마립간(479~500)
22대
지증왕(500~514)
왕이라는 칭호를 처음 사용함.
이사부가 우산국(울릉도)를 점령함
23대
법흥왕(514~540)
율령을 반포함. 이차돈이 순교함. 금관가야를 멸망시킴
24대
진흥왕(540~576)
황룡사의 건립을 시작함.
진흥왕 순수비를 여러 곳에 건립함. 대가야를 멸망시킴
25대
진지왕(576~579)
26대
진평왕(579~632)
27대
선덕여왕(632~647)
최초의 여자 왕. 경주 첨성대를 건립함
28대
진덕여왕(647~654)
29대
무열왕(654~661)
백제를 멸망시킴
30대
문무왕(661~681)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켜 삼국통일을 이룩함
유언에 따라 동해 대왕암에 묻음
31대
신문왕(681~691)
문무왕의 아들. 만파식적을 만듬
32대
효소왕(691~702)
신문왕의 맏아들. 설총을 시켜 이두를 정리함
33대
성덕왕(702~737)
혜초가 서역에서 돌아와 '왕오천축국전'을 지음
34대
효성왕(737~742)
성덕왕의 둘째 아들
35대
경덕왕(742~765)
김대성을 시켜 불국사를 짓도록 함
36대
혜공왕(765~780)
경덕왕의 아들.
대공의 난, 김지정의 난 등으로 나라가 어지러워짐.
성덕대왕 신종을 만듬
37대
선덕왕(780~785)
내물왕의 10세손
38대
원성왕(785~798)
독서출신과를 설치함
39대
소성왕(798~800)
원성왕의 태자인 인겸의 아들
40대
애장왕(800~809)
섭정하던 김언승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시해됨. 해인사를 창건
41대
헌덕왕(809~826)
조카를 죽이고 왕이 됨. 친당정책을 펼침
42대
흥덕왕(826~836)
원성왕의 손자이며 헌덕왕의 동생.
완도에 청해진을 만들어 장보고에게 관리하도록 함
43대
희강왕(836~838)
원성왕의 손자
44대
민애왕(838~839)
흥덕왕이 죽자 김제륭(희강왕)을 왕으로 내세우고 스스로 상대등이 되었다가 희강왕을 죽이고 왕이 됨
45대
신무왕(839)
민애왕을 죽이고 왕이 되었으나 반대파의 저주로 죽음
46대
문성왕(839~857)
신무왕의 태자. 장보고의 반란으로 피살됨
47대
헌안왕(857~861)
48대
경문왕(861~875)
49대
헌강왕(875~886)
처용무가 유행하고 사회가 사치와 환락에 빠짐
50대
정강왕(886~887)
경문왕의 둘째 아들
51대
진성여왕(887~897)
나라가 혼란에 빠짐
52대
효공왕(897~912)
정강왕의 아들.
정사를 돌보지 않아 궁예와 견훤에게 많은 영토를 빼앗김
53대
신덕왕(912~917)
효공왕이 죽자 후사가 없어 백성의 추대로 왕위에 오름
54대
경명왕(917~924)
신덕왕의 태자. 쇠퇴한 국운을 건지려 당나라에 구원을 요청하였으나 실패함
55대
경애왕(924~927)
포석정에서 연회를 하다가 견훤의 습격으로 자살함
56대
경순왕(927~935)
왕건에 항복하여 왕건의 딸 낙랑공주와 결혼하여 경주 사심관으로 여생을 보냄
'◐ 고전 산책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시] 청산은 나를 보고/靑山兮要(청산혜요) (0) | 2007.03.30 |
---|---|
[한시] 思吳江歌(사오강가) (0) | 2007.03.30 |
발해의 도읍지 (0) | 2007.03.15 |
발해의 역사 (0) | 2007.03.15 |
발해의 건국 (0) | 2007.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