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고전 산책로 ◑

단군신화 (檀君神話)

by sang-a 2007. 3. 2.

단군신화 (檀君神話)



고기(古記)에 이렇게 전한다.
옛날에 환인(桓因) --- 제석(帝釋)을 이름 --- 의 서자(庶子) 환웅(桓雄)이 항상 천하에 뜻을 두고

인간 세상을 몹시 바랐다. 아버지는 아들의 뜻을 알고 삼위 태백(三危太伯)을 내려다 보매

인간 세계를 널리 이롭게 할 만한지라, 이에 천부인(天符印) 세 개를 주어, 내려가서
세상을 다스리게 하였다.
환웅은 그 무리 3천 명을 거느리고 태백산(太伯山) 꼭대기의 신단수(神壇樹) 아래에 내려와서 이곳을

신시(神市)라 불렀다. 이 분을 환웅천왕이라 한다. 그는 풍백(風伯), 우사(雨師), 운사(雲師)를

거느리고 곡식·수명·질병·형벌·선악 등을 주관하고, 인간의 삼백 예순 가지나 되는 일을 주관하여

인간 세계를 다스려 교화시켰다.
이 때, 곰 한 마리와 범 한 마리가 같은 굴에서 살았는데, 늘 신웅(神雄, 곧 桓雄)에게 사람되기를 빌었다.

때마침 신(神, 桓雄)이 신령한 쑥 한 심지와 마늘 스무 개를 주면서 말했다.
"너희들이 이것을 먹고 백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는다면 곧 사람이 될 것이다."
곰과 범은 이것을 받아서 먹었다.

곰은 기(忌)한 지 21일〔三七日]만에 여자의 몸이 되었으나, 범은 능히 기하지 못했으므로

사람이 되지 못했다. 웅녀(熊女)는 그와 혼인할 상대가 없었으므로 항상 단수(壇樹) 아래에서 아이 배기를

축원했다. 환웅은 이에 임시로 변하여 그와 결혼해 주었더니, 그는 임신하여 아들을 낳았다.

이름을 단군 왕검(檀君王儉)이라 하였다.
단군은 요(堯) 임금이 왕위에 오른 지 50년인 경인년 - 요 임금의 즉위 원년은 무진이니 50년은 정사이지

경인은 아니다. 아마 그것은 사실이 아닌 것 같다. - 에 평양성(지금의 서경)에 도읍을 정하고 비로소

조선(朝鮮)이라 불렀다.

또다시 도읍을 백악산 아사달(阿斯達)에 옮겼다. 그 곳을 또는 궁(弓) - 혹은 방자(方字)로도 되어 있다.

- 홀산(忽山) 또는 금미달이라 한다. 그는 1천 5백 년 동안 여기에서 나라를 다스렸다.
주(周)의 무왕(武王)이 왕위에 오른 기묘년에 기자(箕子)를 조선에 봉하매, 단군은 장당경으로

옮기었다가 후에 아사달에 돌아와 숨어 산신(山神)이 되었는데, 그 때 나이가 1천 9백 8세였다.



형식 및 성격 : 건국신화

표 현 : 간결, 소박함

사 상 : 광명사상, 숭천(崇天)사상, 동물숭배사상

구 성 : 천손하강(天孫下降 - 하늘의 자식이 지상의
세계로 내려옴)형

분 석 : 천상계에서 지상계(현실계)로 옮겨가는 '환인-환웅-단군'의 삼대기(三代記)를 보여줌
① 환웅의 하강 : 이 땅이 하늘이 선택한 곳임을 의미, 민족의 이동(풍백(風伯), 雲師(운사), 雨師(우사)

- 농경 생활 영위 짐작)
② 웅녀와의 혼인 및 단군 탄생 : 곰과 범은 토템의 대상.쑥과 마늘은 주술적 효능을 가진 식물.

곰이 인간으로 된 것은 인본주의(人本主義)를 바탕으로 했음을 보여줌
인본주의(人本主義) : 홍익인간(弘益人間 -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함)의 정신
③ 고조선의 건국 : 건국신화의 면모(신화의 한 특징인 건국을 위한 '투쟁'이 없음)

의 의 :
① 천손이라는 민족적 긍지와 민족문학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② 개국의 이념과 우리 민족의 유구한 역사와 단일성을 말해준다.
③ 한국신화의 원형으로 존재한다.
④ 농경사회의 제의적 성격을 반영한다.

감 상 : 신화 속에는 집단이나 민족의 종교, 풍습, 의식을 포괄하는 공감대가 깔려있다.

천제의 아들 환웅이 강림하여 홍익인간의 이념을 바탕으로 하여 개국의 터전을
닦고 그의 아들 단군 왕검이 조선을 세웠다는 것은 한민족의 정신과 사상의 원류인 동시에

민족 문학의 모태가 된다.

주 제 : ① 단군의 탄생 및 조선의 건국,
          ② 조선의 개국 및 건국이념의 신성함.

'◐ 고전 산책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조선 역대 제왕  (0) 2007.03.08
면백구년  (0) 2007.03.05
서경별곡 현대어 및 해설  (0) 2007.03.02
최원도의 對 遁村告別  (0) 2007.03.02
구지가 (龜旨歌)  (0) 2007.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