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고전 산책로 ◑148

고구려의 발전 해모수(解慕漱)는 B.C 239년에 고구려(高九黎)를 건국하여 다음 해 B.C 238년에 왕검조선을 멸망시키고, B.C 232년에 멸망한 왕검조선의 잔류세력인 오가(五加) 회유에 성공하여 전에 왕검조선의 진한(辰汗)이 관할하던 지역을 장악한 후 만백성의 추대를 받아 단제(檀帝)가 되었다. 이때부터 해모수계(解慕.. 2007. 3. 8.
고구려를 빛낸 10개의 명장면 ( 2 ) 고구려를 빛낸 10개의 명장면 ( 2 ) 6. 안장왕의 로맨스 [삼국사기] 지리지 고구려조에 보면 지금의 경기도 고양시에 포함되는 왕봉현(王逢縣)과 달을성현(達乙省縣)이라는 2개 고을에 관한 기록이 잡힌다. 그런데 왕봉현과 달을성현 항목에는 이례적으로 짤막한 지명 유래가 담겨 있다. 즉 왕봉현은 "한.. 2007. 3. 8.
고구려를 빛낸 10개의 명장면 ( 1 ) 고구려를 빛낸 10개의 명장면 ( 1 ) 1. '하늘'과 '물'의 정령 주몽왕 북부여 땅을 탈출하여 추격하는 병사들을 따돌리며 내달리는 주몽 앞에는 시퍼런 강물이 굽이치고 있었다.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위기일발의 순간이었다. 숨 고를 틈도 없이 주몽은 활로 수면을 내리치면서 "나는 황천(皇天)의 아들이고 .. 2007. 3. 8.
고구려 벽화의 신비 고구려 벽화 신비 밝혀진다 쌍영총 그림 바탕에 납화합물 사용 확인 ▶ 고구려 쌍영총의 벽화 조각(가로 50㎝, 세로 44㎝, 높이 5㎝.(上)). 아래는 이 조각에 그려진 기마인물상.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인 고구려 무덤 벽화는 1600여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지금도 생생한 느낌을 준다. 막 그리고.. 2007. 3.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