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고전 산책로 ◑148

고구려자료. 광개토왕릉 1. 태왕비에서 서쪽으로 200미터 정도 떨어진 곳에 작은 산이 솟아 있다. 가까이서 보니 거대한 돌무지다. 아래쪽 여기저기에 직육면체의 대형 돌들이 무더기를 이루며 나뒹굴고 있었다. 돌무지 주변에는 이름을 알수 없는 잎 넓은 풀이 초원을 이루고 있고, 때를 잊은 야생화가 군데군데 피어 있다. 이곳.. 2007. 3. 8.
고조선의 유적,유물 흔치 않은 고조선관련 유적.유물 도록을 옮긴 것이다. 지금까지 국내에 소개되어 있는 도판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이 도판들은 독립적으로 큰 의미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자료는 '소나무'사의 [고조선 (1990. 8. 31 , 유 엠 부찐)]에서 발췌했으며 소나무사는 북한의 '조선유적유물편찬위원회'편, [조선.. 2007. 3. 8.
고구려의 국가형성 [특별기고 9]고구려의 국가형성 [국정브리핑 2004-08-16 16:00] 예맥(濊貊)과 고구려 우리 민족과 고구려의 기원․형성은 같은 알타이어족(Altai語族)에 속하면서도 퉁구스ㆍ몽골ㆍ투르크와는 확연히 구별되는 하나의 독립된 민족단위로서 예맥(濊貊)과 지접 관련 된다. 특히 고구려는 이들 예맥 가운.. 2007. 3. 8.
고조선의 역사 6.7 6,신화 단군신화는 고조선의 건국신화로서, 신화의 형성시점에 대해서 여러 의견이 있기는 하지만, 아무리 늦어도 준왕 대의 고조선과 위만조선 대에는 기본적인 줄거리가 완성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단군신화의 맥락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으나, 단군신화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단군과 곰이 .. 2007. 3.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