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779

11. 남석하 - 원유가 작품소개 분류 : 국한문혼용가사 작자 : 남석하 자료형태 : 전적 소장처 : 한국가사문학관 해제시기 : 2009.12.31일 해제자 : 이현주 교수 작품설명(초록) 남석하의 는 젊은 시절을 헛되이 보내지 말고 즐겁게 놀아야 한다는 주장이 작품의 서사를 이루고 있는데 그의 와 중복된 부분이 있다. 전반부에서는 질병을 멀리하고 자연과 더불어 즐거운 생활을 영휘하고 싶다는 작자의 소망이 표출되어 있으며, 후반부에서는 경국제민의 사명을 띤 조선의 사대부로서의 책무를 언급하면서 자신의 출사가 늦은 이유를 해명하고 이러서 자신이야말로 진정한 충신이므로 반드시 임금과 뜻을 같이하여 요순 때와 같은 태평성대를 이루고 싶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그런데 남석하의 행적에서 뚜렷한 출사의 흔적을 찾을 수 없었으며, 그가 .. 2020. 7. 19.
10. 정철 - 사미인곡 작품소개 분류 : 국한문혼용가사 작자 : 정철 자료형태 : 전적 소장처 : 한국가사문학관 해제시기 : 2009.12.31일 해제자 : 박영주 교수 작품설명(초록) 송강 정철(松江 鄭澈 ; 1536~1593)의 은 '미인-님-임금'을 그리는 절절한 정을, 한 여인이 그 남편을 생이별하고 그리워하는 연모의 정으로 바꾸어 노래한 연가이자 연군가이다. 이별한 님에 대한 그리움과 님에게 드리고 싶은 정성을, 그 님이 받아들일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간곡하게 노래하고 있는 작품이다. 은 송강이 봉당 간의 알력과 정쟁이 격화되던 와중에 사헌부와 사간원의 논척을 받고 판돈령의 직위에서 물러나 담양 창평에 머물던 시기에 지어졌다. 작품이 지어진 정확한 연대는 송강의 넷째 아들 정홍명이 이식에게 전하는 편지에서, '은 이 고.. 2020. 7. 19.
9. 이서 - 낙지가 작품소개 분류 : 국한문혼용가사 작자 : 이서 자료형태 : 전적 소장처 : 한국가사문학관 해제시기 : 2009.12.31일 해제자 : 조태성 교수 작품설명 (초록) 의 주인 이서 (李緖 : 1484~미상)는 원래 왕족이었다. 양녕대군의 증손자였던 그는 둘째형의 왕위 추대사건에 모반죄 혐의로 밀고를 당하고 명양현 (鳴陽縣)으로 유배되었다. 이때가 그의 나이 25살 때였는데, 이후 14년이 지난 뒤에야 비로소 해배된다. 그러나 그는 귀경하지 않고 그곳에 은거하여 자손과 후손의 교육에 전념한다. 평생 안빈낙도(安貧樂道)의 삶을 추구하다 그곳에서 삶을 마쳤다. 는 이때 만들어진 노래이다. 이 가사는 작자의 사우(祠宇)인 몽한각(夢漢閣)에서 출간한 『몽한령고(夢漢零稿) 』에 수록되어 전한다. 『몽한령고 』는 그가.. 2020. 7. 19.
8. 남극엽 - 충효가 작품소개 분류 : 국한문혼용가사 작자 : 남극엽 자료형태 : 전적 소장처 : 한국가사문학관 해제시기 : 2009.12.31일 해제자 : 국윤주 교수 작품설명 (초록) 는 조상들의 충의와 효행의사적을 후손들에게 알기 쉽게 알려주고 가문의 명예와 자부심을 널리 드러내 보임으로써 자손들이 선대의 유업으로 충효의 정신을 계승해가길 당부하는 내용의 가사작품이다. 낙극엽의 『애경언행록』권 8에 충효가 50구 (忠孝歌五十句)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는데, 3.4 혹은 4.4의 두 어절씩 한 매듭을 보이는 어구를 1구로 여기고 있어 가사의 양식적 특성에 대한 오늘날의 생각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침저녁으로 읊어 사람들에게 널리 퍼뜨렸다는 기록이나, 넷째 아들 남석하의 문집 『추담유고 』에도 라는 이름으로 .. 2020. 7.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