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779 7. 정철 - 속미인곡 작품소개 분류 : 국한문혼용가사 작자 : 정철 자료형태 : 전적 소장처 : 한국가사문학관 해제시기 : 2009.12.31일 해제자 : 박영주 교수 작품설명(초록) 문학 작품 특히 시가 작품에서 속편이 지어지는 것은 작자가 노래하고자 하는 주제가 그만큼 강렬하거나 간절하다는 의미일 것이다. 자신에게 그만큼 강렬하기에 또 다른 국면을 통해 노래를 지속하고자하며 그만틈 간절하기에 앞서 지은 작품에서 미처 다하지 못한 말이나 생각들을 이어 펴내고자 하는 것일 터다. 송강 정철(松江 鄭澈 : 1536~1593)의 은 잘 아는 바와 같이 의 후속편으로서, 작품의 내용이나 전개 혹은 표현 방식이 다를 뿐, 작품의 핵심요소에 해당하는 주제적 측면에서는 전편과 맥락을 같이 한다. 더욱이 작품이 지어진 시기 역시 담양 창.. 2020. 7. 19. 6. 유도관 - 사미인곡 작품소개 분류 : 국한문혼용가사 작자 : 유도관 잘형태 : 전적 소장처 : 한국가사문학관 해제시기 : 2009.12.31일 해제자 : 국윤주 교수 작품설명(초록) 유도관의 은 출사의 길을 가지 않고 처사의 삶을 살았던 향촌의 선비가 노래한 것으로, 남녀 상사의 형식을 빌은 연군가사이다 서울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궁벽진 향촌에서 벼슬길이나 유배생활과는 아무런 상관없이 오직 초야에 묻혀 사는 한 선비로서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님을 그리는 애절한 여인의 목소리에 빗대어 노래한 것이다. 그 표현 형식의 측면에서나 군주를 사모하는 충신연주지사의 내용이 모두 송강 정철의 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가사 은, 『곤파유고(崑波遺稿)』 초고본에 전한다. 이것은 광주의 헌책방에서 하성래가 구입하여 간직하게.. 2020. 7. 19. 5. 정철 - 관동별곡 작품소개 분류 : 국한문혼용가사 작자 : 정철 자료형태 : 전적 소장처 : 한국가사문학관 해제시기 : 2009.12.31일 해제자 : 박영주 교수 작품설명(초록) 대관령 혹은 태백산맥 동쪽의 땅을 일컬어 '관동'이라고 한다. 이 지역은 예로부터 산수유람의 발길이 끊이지 않아 시문과 그림 등 수 많은 예술작품을 낳는 영감의 원천이 되어 왔다. 더욱이 전통시대 선비들은우리 국토산하를 이른바 '사유의 지형이자 감성의 양식'으로 삼기도 했다. 따라서 그들에게 있어서 산수는 단순한 자연에 그치지 않고, 민족의 역사와 문화가 생겨난 바탕이자, 자신의 심성을 순화하고 인격을 연마하는 도량으로 삼아 사유의 지평을 확장하고 감성을 단련하기도 했다. 은 송강 정철(松江 鄭澈 : 1536~1593)이 나이 45살이던 158.. 2020. 7. 18. 4. 정식 - 축산별곡 작품소 분류 : 국한문혼용가사 작자 : 정식 자료형태 : 전적 소장처 : 한국가사문학관 해제시기 : 2009.12.31일 해제자 : 조태성 교수 작품설명 (초록) 은 조선 시대 후기의 문인이었던 정식 (鄭湜 현종 2년, 1661~영조 7년, 1731)이 지은 가사작품이다. 이 작품은 그의 2대 손인 정익환이 1782년에 엮은 「선조가사 」에 송가으이 가사 작품들과 함께 실려 있다. 제목이 보이는 '축산'은 현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의 신라시대 지명이다. 고려시대에는 용주라 하였고, 조선시대 이르러 용궁이라 불리기 시작하였다. 작품의 전반적인 내용은 축산 지방의 산천 풍물과 이를 대하는 작자의 풍류를 담고 있다. 3.4조 위주의 음수율에 기본 4음보, 전체 56행 112구로 되어 있다. 소중화 제일형이 하.. 2020. 7. 18. 이전 1 ··· 47 48 49 50 51 52 53 ··· 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