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779 15.남석하 - 초당춘수곡 작품소개 분류 : 국한문혼용가사 작자 : 남석하 자료형태 : 전적 소장처 : 한국가사문학관 해제시기 : 2009.12.31일 해제자 : 이현주 교수 작품설명(초록) 은 총 127구에 달하는 중편가사이다. 이 제목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어느 화창한 봄날 자신의 집에서 낮잠을 자다 일어나 상춘(賞春)하게 된 사정과 그에 따른 감회를 묘사하고 있는 작품이다. 그런데 감흥을 그려냄에 있어 국내는 물론 향리의 인명이나 지명. 산수(山水)의 이름은 전혀 드러나지 않고 오히려 중국의 인명이나 지형. 지물이 자주 나타나고 있어 현장감보다는 관념적 이미지가 강하게 느껴지고 있다. 다시 말해 실제 고향의 봄이라고 하기보다는 중국의 대표적인 누정에서의 승경놀음 및 이와 관련된 여러 인물들의 행정이 부각되어 있는 작품이다. .. 2020. 7. 19. 14. 남석하 - 사친곡 작품소개 분류 : 국한문혼용가사 작자 : 남석하 자료형태 : 전적 소장처 : 한국가사문학관 해제시기 : 2009.12.31일 해제자 ; 이현주 교수 작품설명(초록) 은 총 162구의 중편가사로 부모님을 여의고 난 후의 슬픈 심정을 매우 적나라하게 토로해 놓은 작품이다. 남석하의 아버지 애경담 남극엽은 영조 12년 (1736)에 출생하여 순조 4년 (1804)까지 살면서 가사작품으로 와 를, 시조작품으로는 를 남긴 인물이다 애경당은 특히 지극한 효행으로 몇 차혜에 걸쳐 지방의 관리들로부터 임금께 천거되었던 것으로 전한다. 환갑 즈음에 『대학연의 (大學衍義)』의 교정 및 를 저술에 참여한데 이어 규장각의 고정유생으로 잠시나마 진출하였으나 바로 낙향하여 68세를 일기로 생을 마쳤다. 그의 어머니 남원윤씨는 영.. 2020. 7. 19. 13. 송순 - 면앙정가 작품소개 분류 : 국한문혼용가사 작자 : 송순 자료형태 : 전적 소장처 : 한국가사문학관 해제시기 : 2009.12.31일 해제자 : 조태성 교수 작품설명 (초록) 욕망이라는 것은 말 그대로 무언가 하고 싶은마음 그 자체일 것이다. 그 욕망이 사람마다 다른 까닭은 무언가에 해당하는 대상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그 무언가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적을수록 욕망의 크기는 더 커진다. 그런 까닭에 사람들은 절망을 이야기하고, 망각을 붙잡으며, 응어리진 한(恨)을 토로하는 경우가 잦아지는 것이다. 그러나 그럴수록 마음은 오히려 더욱 굳게 닫혀간다. 에는 닫힌 마음이 없다. 공간도 마음도 오히려 활짝 열려 있다. 또한 거기에는 욕망도 보이지 않는다. 아니, 보이지 않는다기보다는 욕망 그 자체가 오히려 '면앙(俛.. 2020. 7. 19. 12. 남극엽 - 향음주례가 작품소개 분류 : 국한문혼용가사 작자 : 남극엽 자료형태 ; 전적 소장처 : 한국가사문학관 해제시기 : 2009.12.31일 해제자 : 국윤주 교수 작품설명(초록) 는 담양 월산에서 세거해 온 선비 남극엽이 62세인 정조 21년(1797)에 가을고겸ㄴ(加乙谷面)이라는 인근 지역에서 열린 향음주례에 참석하고 느낀 감회를 48행 90구의 형식으로 읊어낸 가사 작품이다. 「향례를 세워 정사년(정조21년, 1797) 정월 초하루에 비로소 반포하였는데 받들어 읽어보니 온화하여 조야가 모두 기뻐하였다. 노인을 높이고 어버이를 섬기는 마음을 이에 거듭 밝혔으니, 상하에는 인륜이 있어 장유유서이다. 이를 행한 지 한 달 만에 길가는 사람들은 길을 양보하고, 비록 여인(與人)과 주졸 (走卒)같은 천한 무리라도 모두들 알.. 2020. 7. 19. 이전 1 ··· 45 46 47 48 49 50 51 ··· 445 다음